본문 바로가기
정책정보안내

청년도약계좌 조건, 신청기간, 가구소득 기준 안내

by 유용한 꿀팁 2023. 1. 23.
반응형
SMALL
청년도약계좌 조건, 신청기간, 가구소득
청년도약계좌 조건, 신청기간, 가구소득

목차
청년도약계좌 신청조건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청년도약계좌 가구소득
청년도약계좌 만기환급금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정책형 금융상품으로 2023년 6월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서민금융진흥원 출연 예산 3천678억 원을 확보하였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공문


본인이 납입한 금액에 비례하여 일정비율을 정부가 3~6%의 기여금을 지원하게되며 적립을 통한 이자발생 및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제공합니다.

오늘은 청년도약계좌 신청조건과 기간, 가구소득 기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조건

청년도약계좌는 20대와 30대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목적으로 출시되는 정부지원사업의 하나로 본인이 납입한 금액 이외에 정부기여금과 은행이자를 지급하는데 만 19세~34세의 청년들을 대상으로 하며 개인소득 6천만 원 이하, 가구 총소득 기준 중위소득 대비 180% 이하여야 신청조건이 주어집니다.

지원금 적립 비과세혜택


<청년도약계좌 신청조건>

  1. 만 19세~34세 청년
  2. 개인소득 6,000만원 이하
  3. 가구 총소득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남성의 경우 병역 이행기간을 제외하여 만 34세에서 병역기간만큼 추가되므로 만 34세를 초과하는 분들도 신청대상이 될 수 있으며 소득활동을 하지 않고 있다면 신청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정부기여김의 경우 가입자의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결정될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 확정된 사항은 아닙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아직가지 정확한 상품출시 일자가 확정되지 않았지만 2023년 6월 중 상품출시를 목표로 개발 중에 있으며 자세한 일정이 확인되는 대로 추가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구소득

개인의 소득뿐만 아니라 가구 총소득도 함께 보기 때문에 이전의 청년희망적금에 비해 신청자가 적을것으로 생각됩니다. 가구원 범위는 주민등록등본에 기재되어 있는 가족들을 대상으로 신청자의 직계존비속, 형재, 자매가 포함됩니다.

기준 중위소득은 다음표와 같습니다.

가구원수 중위소득 180%
1인 3,740,206원
2인 6,221,079원
3인 7,982,669원
4인 9,721,735원
5인 11,395,238원
6인 13,010,366원


청년도약계좌 만기환급금

만기시 이자나 배당소득에 대해서 비과세이기 때문에 시중 은행의 어떠한 상품보다 금리가 높을 수 있는데 월 70만 원씩 5년간 납입하였을 경우 이자소득에 대한 세금 15.4%가 면제되는 비과세 혜택을 받는다면 시중 은행의 적금상품 7.5%에 해당하는 금리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만기환급금액


맺음말

금리상승기 자산형성에 관심이 많은 청년들에게 원금보장은 물론 높은 이자까지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벌써부터 관심이 뜨겁지만 5년이라는 긴 납입기간과 적지 않은 월납입금을 고려한다면 목돈 마련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실제 청년도약계좌 이전 출시되었던 청년희망적금도 파격적인 금리 혜택에 힘입어 가입자가 몰렸지만 출시 6개월여 만인 지난해 9월 30만명 이상이 해지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입니다.

오랜 기간 큰 금액을 예치해야하는 만큼 현금이 중요해지는 시대에 개인의 수입과 지출을 고려하여 가입을 판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상 청년도약계좌 신청조건과, 기간, 가구소득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았습니다. 필요하신 분들께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LIST